Long과 Short 의미 – 매수를 Long, 매도를 Short이라고 표현하는 이유

·매수를 Long, 매도를 Short이라고 표현하는 이유

Long과 Short 의미처럼 금융 용어를 정확히 이해하면 시장 상황에 맞는 전략을 구사할 수 있습니다. Long Short 의미를 알아볼텐데요. 주식이나 선물, 외환 등의 금융시장에서는 매수를 “Long position”, 매도를 “Short position”이라고 표현합니다.  ‘buy’나 ‘sell’이란 말 대신 왜 이런 단어를 사용할까요? 그 이유와 그 기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Long Position: 자산 보유로부터의 이익 추구

“Long”은 단어 그대로 길다는 의미를 갖고 있으며, 이는 자산의 가격이 상승할 때까지 ‘길게 길게’ 오래 보유하여 이익을 추구하는 전략을 의미합니다. 자산의 가격이 오를 거라 예상했기 때문에 히당 자산을 매수하는 것이죠.  그리고 이를 일정 기간 보유하겠다는 의지까지 포함합니다.
long position을 다음과 같은 예를 들어 같이 정리해두세요. 기억하기 쉬울겁니다.

“나는 내 주식이 언젠간 오를 거라 믿어. 그래서 롱 포지션 잡았지!”
“…3년째 기다리는 중이야.”

 

 

 

2. Short Position: 자산을 빌려서 파는 전략

“Short”의 뜻은 짧다는 의미, 이를 거래와 연결지으면 자산을 오랫동안 보유하지 않고, 빠르게 거래를 종료하려는 전략을 상징합니다. 실제로 공매도 전략에서는 보유하지 않은 주식을 증권사 등에서 빌립니다.  그리고 즉시 주식을 시장에 매도하고 합니다. 아주 short한 시간 안에 말입니다. 증권사의 주식을 짧게 보유하고, 다시 거래한다는 의미와 short이란 용어와 연결됩니다.
추후 주가가 하락했을 때 다시 해당 자산의 주식을 사서 되갚습니다. 이 과정에서 이익을 얻게 됩니다. 자산을 짧은 기간 내에 되돌려줘야 하기 때문에 “짧다”는 의미가 반영됐습니다. 영어권에서 “to short a stock”이라는 표현은 바로 이 공매도 개념에서 비롯되었습니다.

“나 숏 쳤어.”
“그게 무슨 뜻이야?”
“주가 떨어지면 난 부자…
안 떨어지면… 그냥 드라마 끝나는 거야.”

 

 

 

3. 역사적 배경과 언어적 영향

Long과 Short 의미가 투자 용어로 정착된 배경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쳤습니다:

  1. 초기 거래의 방식: 초기 금융시장에서 투자자들은 자산을 보유하여 오랜 기간 가격 상승을 기대하는 전략을 취했습니다. 이로 인해 ‘길다’는 개념이 자연스럽게 매수 전략에 연결되었습니다.
  2. 공매도 전략의 등장: 자산을 보유하지 않고 빌려서 매도하는 방식이 등장하면서, 빠른 거래 종료가 특징인 이 전략은 ‘짧다’는 개념과 결합되었습니다.
  3. 언어적 관용 표현의 정착: 영어에서는 이러한 전략을 “long” 또는 “short” position으로 일컫기 시작했고, 이러한 표현이 관용적으로 정착되었습니다.
  4. 국제 금융 용어로 확산: 영미권 금융 시스템의 영향력이 확대됨에 따라, 이 용어들이 글로벌 금융시장에서도 통용되는 표준 용어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처럼 단순한 단어처럼 보이지만 Long과 Short 의미 속에는 거래 방식, 시간 개념, 시장 전략이 녹아 있습니다.

 

 

 

4. Long과 Short 의미 – 금융 언어 이해는 투자 이해의 출발점

매수를 Long, 매도를 Short이라고 표현하는 이유는 단순히 방향성을 예측한다는 의미를 넘어 다음과 같은 전략적 요소까지 포함합니다.

  1. 시장 전망 반영: Long positon을 가져간다는 것은 투자자가 시장이 앞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측한다는 것입니다. 반대로 Short은 하락장을 대비하는 것이고요. 이렇게 포지션만 확인해도 시장에 대한 투자자의 관점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2. 위험 관리 전략: 상승장에서 long position으로 수익을 노릴 수 있습니다. 동시에 shotr position으로 시장의 하락에 대비할 수 있습니다. long과 short을 동시에 활용해 양방향 모두 대응하는 구조가 만들어집니다. 헤지(hedge)전략 즉 위험 관리 구조가 만들어집니다.
  3. 포트폴리오 다각화 전략: Long과 Short 포지션은 자산군의 분산과 리스크 분배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위험 관리 전략을 활용해서 특정 산업, 섹터에도 long과 short을 활용해 포트폴리오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 특정 산업이나 지역, 섹터에만 집중된 포트폴리오는 해당 시장의 리스크에 크게 노출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기술주 중심의 포트폴리오에만 Long 포지션을 취하고 있다면, 기술 섹터가 하락할 때 전체 포트폴리오가 큰 영향을 받게 됩니다.
    • 이때 다른 산업군이나 자산군에 Short 포지션을 병행함으로써 특정 분야의 리스크를 다른 분야의 수익으로 상쇄할 수 있습니다.
    • 결과적으로 다양한 자산에 분산 투자하고, Long과 Short 포지션을 혼합함으로써 전체 포트폴리오의 안정성을 높이는 전략입니다.
  4. 투자 실행 방식: 단순히 싸게 사서 비싸게 파는 전략을 넘어서, Long과 Short 포지션을 동시에 활용하는 ‘롱숏 전략’과 같은 복합적인 운용 기법의 기초가 됩니다. 예를 들어, 상승 가능성이 높은 종목을 Long으로 매수하고, 하락이 예상되는 종목을 Short으로 공매도하여 양방향 수익을 노릴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전략은 시장의 방향성에 관계없이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고급 투자 전략의 핵심이 됩니다.
위로 스크롤